투자/부동산

오세훈표 재개발 "신속통합기획" 공모문 분석. 투자 지역을 찾아보자

SW PLAN B 2022. 1. 11. 21:25
728x90

 

아래 모든 의견은 저의 뇌피셜이자 망상입니다.

투자는 본인의 판단과 책임으로 반드시 자기 자신의 판단과 책임하에 하여야 하며, 자신의 여유자금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.

관련 글

2022.01.11 - [투자/부동산] - 오세훈표 재개발 "신속통합기획" 공모문 분석. 투자 지역을 찾아보자

 

오세훈표 재개발 "신속통합기획" 공모문 분석. 투자 지역을 찾아보자

신속통합기획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주택재개발사업입니다. 지난 2021년 12월 28일 (화), 민간재개발 후보지 21곳을 발표하면서 큰 이슈를 만들어 냈습니다. 신속기획통합은 앞으로도 다

sw-daily.tistory.com


같이 토론해요

오픈채팅 망상가들의 극초기 재개발 소액 투자 토론방

https://open.kakao.com/o/gFQgpyUd

 

망상가들의 극초기재개발 소액투자 토론방

#재개발#부동산#소액투자#뉴타운#빌라투자#서울부동산#서울재개발#한강변투자

open.kakao.com


신속통합기획 관련 뉴스

신속통합기획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주택재개발사업입니다.

지난 2021년 12월 28일 (화), 민간재개발 후보지 21곳을 발표하면서 큰 이슈를 만들어 냈습니다.

신속기획통합은 앞으로도 다음 차수의 공모가 이어질 예정입니다.

향후 서울의 주택공급이 택지개발 보다 재건축, 재개발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할 것입니다.

따라서 신속통합기획을 잘 활용한다면 재개발 가능성 있는 지역의 물건을 소액으로 선점하고 서울 아파트를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을 살펴보고 떠오르는 생각들을 기록하기 위해 본 포스팅을 작성합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. 1

대상 요건 1

법령/조례상 주택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필수요건 노후도(동수) 2/3 이상 그리고 구역 면적 10,000 m2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.

선택요건 노후도(연면적) 2/3 이상, 과소필지 40% 이상, 주택 접도율 40% 이하, 호수밀도 60/ha 이상 중 한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대상 요건 2

토지등소유자 30% 이상 동의.

30% 동의율은 공모 신청을 위한 동의율이고 선정된다면 향후 사업 진행을 위해 추가적인 동의율이 필요합니다.

* 주거환경개선사업지역(관리형)에대한 추가 스터디가 필요 할 것 같습니다.

제외 요건 1

공공 재개발 또는 2.4 대책에 따라 후보지로 선정된 구역. 

2.4 대책에 따라 후보지로 선정된 구역은 현금청산 이슈도 있고 공공재개발이라고 하면 기부채납이 많고 임대비율이 높아 사업성이 좋지 않다는 인식으로 점점 더 사업이 지지부진해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.

제외 요건 2

토지등소유자 30% 이상이 반대하는 구역

찬성 30% 동의서 징구보다 반대 30% 동의서 징구가 훨씬 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한편으로 단독주택, 근생이 30% 가까이 있는 구역은 해당 요건으로 공모대상에서 제외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반대로 단독주택, 근생 비율이 적은 구역은 그만큼 프리미엄이 생길 수 도 있을 것 같습니다.

제외 요건 3

전용주거지역

전용주거지역은 용적율이 낮아 제외 요건에 들어가지 않더라도 사업성이 낮아 선정될 확율이 낮을 것 같습니다.

하지만 신속통합기획 이름과 어울리게 신속하게 진행되기 위해서 사업성이 좋은 구역을 선정하겠다는 의지가 보이기도 합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. 2

유의사항에 포함된 도시재생지역등, 해제지역, 서울시 정책상 도시관리 및 보전이 필요한 지역,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보호구역 또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은 투자에 유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.

이번 선정결과에 재생지역등이 포함 된 만큼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고 조금 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.

다만, 도시재생지역, 해제지역은 더 많은 투자자의 관심이 쏠릴 만큼 투자 자금이 더 많이 들어갈 것을 생각하면 저같은 초소액 투자자에게는 접근하기 힘든 물건 같습니다.

3번 항목에서 제1종일반주거지역과 이에 인접한 지역은 시 도시계획과와 사전협의가 필요하다는 말에서 서울시가 사업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느낌을 받습니다. 그만큼 주택 공급양을 신경쓴다는 의미도 되겠네요.

매수 전 매수물건 주변의 토지이용계획도 꼼꼼히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. 3

매년 25개소 내외, 2만 6천호 내외로 선정을 한다고 합니다.

서울기간별 수요/입주 (출처: 부동산 지인)

신속통합기획으로 재개발이 진행되고 입주를 하려면 아무리 빨라도 6~7년의 시간이 더 필요할 것입니다. 매년 2만 6천호 내외의 입주가 이뤄진다고 해도 충분한 입주물량이 될 지는 의문입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. 4

후보지 선정기준입니다. 가장 눈여겨 봐야 할 페이지 입니다.

자치구 여건을 살펴보면 2.4 대책에도 언급된 노후 저층 주거지를 잘 찾아봐야 하겠습니다.

주택수급계획과 진행 중인 구역 수는 같은 자치구 내에 정비구역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려는 듯 합니다.

기본 점수에서는 노후 동수가 40점으로 가장 중요한 요건입니다.

구역 면적이 지나치게 크면 감점 요인이 되는 것과 재해위험지역, 주차난 심각지역에 가점을 주는 것이 눈에 띕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. 5

자치구 여건으로 주택 가격상승률, 이상거래 움직임 등이 검토 대상인듯 합니다.

권리산정기준일도 그렇고 신속통합기획으로 빌라가격이 움직이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듯 합니다. 

주택 가격상승률은 말 그대로 주택 가격 상승률을 의미하는 것 같고 이상거래 움직임은 애매하지만 예상해보자면 갑작스럽게 많아진 법인 거래 또는 손바뀜 등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. 6

 

투자자 입장에서 권리산정기준일과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대한 내용을 주의깊게 봐야합니다.

신속통합기획 후보지 선정 보도자료 중 발췌

이번 공모에서 '21. 09. 23 다음날 까지 보존등기가 접수 됐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고 이후 공모되는 구역에서는 '22. 01. 28 다음날 까지 보존등기가 접수 될 수 있는 물건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
권리산정기준일과 토지거래허가구역 등에 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. 19

[붙임 3] 자치구 검토보고서 서식 중 일부입니다. 투자 전 필수 요건과 선택 요건을 잘 살펴보고 물건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
아래는 공고 전문이고 정보 몽땅에서 원본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.

01234567891011121314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p. 1-15

 

01234567891011
신속통합기획 공모문 pp. 16-27

반응형